Sunday, November 6, 2016

유교(儒敎)는 종교인가?

유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a/Disambig_grey.svg/23px-Disambig_grey.svg.png 다른 뜻에 대해서는 유교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유교(儒敎)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 종교 관점에서 이르는 말이다. 시조 공자 이름을 따서 공교(孔敎)라고도 한다.[1] 지켜야 인륜의 명분(名分) 대한 가르침이라고 하여 명교(名敎)라고도 한다.[2]
유교의 특징 또는 핵심 사상은 수기치인(修己治人)으로, 유교는 수기치인의 학이라 있다. , 유교는 자기 자신의 수양 힘쓰고 천하를 이상적으로 다스리는 목표로 하는 학문이며 또한 그것을 향한 실천이라고도 있다.
유교는 전국시대(기원전 403~221)에는 제자백가 하나인 유가(儒家) 등장했지만전한 무제(재위 기원전 141~87) 국가 정통의 학문이 후로는 중국 학문 사상계 대표하게 되어 현대의 중국에 이르기까지 중국 정치 국민생활에 영향을 주었다.[3]
유교의 주류는 전국시대에는 맹자 대표되는 내성파 학문과 순자 대표되는 숭례파 학문한나라 당나라 시대의 훈고학 경학송나라시대의 성리학명나라 시대의 양명학청나라 시대의 고증학 등으로 발전 또는 변천되었다.
개요[편집]
공자의 사후공자의 제자들은 증자(曾子· 자사(子思) 계통에 속하는 내성파(內省派) (子夏· 자유(子遊) 계통에 이어지는 숭례파(崇禮派) 2파로 나뉘었다.[3][4]   내성파 전통은 맹자에게로 이어졌고 숭례파 전통은 순자에게로 이어졌다.[4] 그리고 순자 사상은 제자백가 법가 사상의 유파로서 성립될 있는 근거를 주어 한비자 등에 의해 법가 성립되었다.[5]
한나라 당나라 시대에 훈고학 경학 성립 · 발달하였다. 한나라 시대에서 》와 외에 》·《》·《춘추》가 경서에 추가돼서 오경 성립되었다.
송나라(960~1279) 시대에 성리학 성립되었다성리학에서는 선진시대(先秦時代: 기원전 221 이전) 유학의 도통(道通: 유학의 도가 전해져 이어온 계통) 강조됨으로써 공자 · 증자 · 자사 · 맹자 내성파 계보가 중시되어 공자 논어증자 대학자사 중용맹자 맹자》의 4 성립되었다.[4]
명나라 시대에서는 양명학 성립되었고청나라 시대에서 고증학 크게 흥기하였다.
성립[편집]
유교는 시조 공자 이름을 따서 공교(孔敎)라고도 하는데, 내용은 신분의 존비 인애(仁愛) 근본으로 하면서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 길을 가르치는 일종의 정치학 · 윤리학이다.[1] 따라서 유학이라고도 한다.[1]
공자 자기의 교학(敎學) 정교일치(政敎一致) 성덕(聖德) 갖춘 성왕(聖王, 선왕)들의 () 합치하는 것으로 생각했다.[1] 또한 "선왕의 " 주공(周公) 비롯하여  왕조의 창설자들에 의해 밝혀져서 ()》나 () 등의 경전(經典, 경서) 수록되어 있다고 생각했다.[1]
공자의 사상은 전국 시대에는 맹자(孟子· 순자(筍子) 등에 의해서 계승되어 (· () 미쳤는데, 시기에 이르러서 》와 외에 ()》·《()》·《춘추(春秋)》가 경서에 추가돼서 오경(五經) 성립되었다오경 성립은 중국인 공통의 규범이나 신앙이 유가 사상을 핵으로 하여 집대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나라 무제 중국의 지배자로서의 한왕조의 권위를 이데올로기 면에서 정당화하기 위하여 동중서(董仲舒) 등의 협력을 얻어 유교를 한제국 공허(公許) 학문으로 채용하였다.[1] 이것으로 유교는 강대한 전제 권력에 의해서 전면적으로 지지를 얻게 되고 관료와 후보자적 존재에게 있어서는 필수적인 교양이 되었다.[1] 따라서 이전에 유교가 재야 여러 학문의 하나였던 때에 비해서 유교는 차차 사상적 내용의 긴장성을 잃어갔다.[1]
발전[편집]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4/Question_book-4.svg/25px-Question_book-4.svg.png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1 6 25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유교는 춘추전국시대 이후 한나라수나라당나라송나라원나라명나라청나라  고대 중세를 거쳐 변함 없이 중국 대표적 이데올로기였다. 일시적으로 도교 불교 국가 핵심 이념이 때도 있었지만, 어디까지나 근본은 유교였다. 유교는 고대의 훈고학 유교를 거쳐 송나라  신유학 도교의 형이상학적 개념을 받아들여 주자 정자 의해 성리학으로 발전하였다.
성리학은 한국으로 건너와 조선왕조의 국가 이데올로기로서 자리잡는 한국에 영향을 주었다명나라 때는 사변적인 성리학에 대한 반발로 왕양명 의해 양명학 등장하였다. 양명학은 사물의 이치를 파악 이전에 마음의 선천적인 앎의 능력인 양지(良知) 강조하였다조선 후기 북학파실학 영향을 주었으며강화도 중심으로한 강화학파 학문이기도 하였다청나라 이르러 객관적인 증거에 의한 실증적이고 귀납적인 연구를 강조하는 고증학 크게 흥기하였다.
유교는 동북 아시아,  한국 일본  중국 인접 국가를 비롯한 나라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쳐 특히 한국의 경우 삼국시대 이후 고려 거쳐 조선 왕조 때에는 국가 지배 이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