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August 14, 2022

반지성주의(反知性主義)

 반지성주의(反知性主義)

 

반지성주의(反知性主義영어Anti-intellectualism) 또는 반주지주의(反主知主義) 지성지식인지성주의 적대하는 태도와 불신을 말하며, 주로 교육철학문학예술과학 쓸데없고 경멸스럽다는 조롱의 형태로 나타난다지성주의 반대어이다. 또는, 학계의 엄격한 기준에 부합하기에 실패한 자칭 지식인들을 반지성주의자라고 하기도 한다. 다만 이때에는 사이비 지식인(pseudo-intellectualism)이라는 표현이 더욱 흔하게, 더욱 정확한 의미로 사용된다.

대중을 중심으로 담론에서, 반지성주의자들은 정치상·학문상 엘리트 맞서는 대중을 옹호하는 사람을 자처하고 그렇게 받아들여진다. 사람들은 배운 사람들은 절대 다수의 관심사와 유리된 계층이며, 대중과 유리된 사람들이 정치에 관계된 담론과 고등교육을 독점한다고 주장한다.

반지성주의는 전체주의다운 독재정체에서 정치에 관계된 이견을 압살하려고 흔히 나타나는 양상이다아돌프 히틀러 나의 투쟁 따위에서 나타나는 국가사회주의도이칠란트노동자당 포퓰리즘 레토릭 반지성주의를 매우 흔하게 나타낸다. 반지성주의의 극도에 도달한 정치에 관계된 형태는 1970년대  포트 크메르 루주 정권 치하의 캄보디아(당시 국호 민주 캄푸치아)에서 나타났다.[1]

또한 종교에 딸린 반지성주의[2] 과학 바탕에서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 사실들을 공격해야 대상으로 생각하게 하거나 과학의 바탕에서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 지식의 습득을 일부러 차단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일부 근본주의 교회에서 받아들여지는 창조과학 지적설계 그것을 대표할 정도로 전형이 만하거나 특징이 있는 예이다. 이들은 과학의 바탕에서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 사실을 일부러 왜곡하거나 이것을 교육받은 사람들을 적으로 규정하며[3][4][5], 관찰 가능한 사실인 진화 비롯한, 과학의 바탕에서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 지식의 습득을 일부러 방해하는 일을, 예를 들어 스콥스 재판 같은 일을 벌이기도 했다. 이런 반지성주의가 극단화해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 같은 사회문제가 일어나기도 했다.[6][7]

 

 과학적 근거를 배격하며 백신 거부 운동을 벌이는 유명인들도 마찬가지다.

현대는 옥스퍼드 영어 사전이 2016년 ‘올해의 단어’로 선정한 것처럼 ‘탈진실’(Post Truth)의 시대로 불린다. 시민들의 교육 기간이 늘어나고 정보의 진위를 즉각 확인할 수 있는 환경에서 왜 탈진실과 반지성의 흐름이 거세진 것일까. 정보기술 환경을 떼어놓고 얘기할 수 없다.분서갱유종교재판정치범 처형 등 역사엔 반지성적 상흔이 가득하지만 본격적으로 반지성주의를 문제 삼을 수 있는 시대는 민주주의와 과학적 합리주의가 보편적으로 수용된 근대 이후다나치 독일스탈린주의중국의 문화혁명미국의 매카시즘유신독재의 긴급조치 등이 반지성주의의 대표적 사례다코로나 치료법으로 소독제 인체 주사를 검토해보자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이다.

<전문가와 강적들>의 저자 톰 니컬스는 인터넷 환경에서 사람들은 “나도 너만큼 알아”라며 전문가를 무시하게 됐다고 말한다. 그는 “사람들은 지식을 더 소중하게 여기게 된 것이 아니라, 모두의 지적 수준이 동등하다는 비합리적인 신념을 지니게 됐다”고 말한다. 뉴욕대 사회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는 “사실이 우리 가치와 충돌할 경우 거의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가치를 고수할 수 있고, 반대 증거를 기각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다”며 인터넷을 배경으로 지목한다.

진실은 힘과 선전이 아니라 충분한 투명성이 제공될 때 비로소 확보될 수 있다. 과학은 논문 공개, 동료 평가를 통한 공개 비판과 검증을 핵심 도구로 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비판하는 언론을 ‘가짜뉴스’라고 몰아붙일 뿐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새 정부 (윤석열 정부) 가 진정 과학과 진실을 통한 반지성주의 극복을 바란다면, 더 많은 투명성을 제공하고 검증과 비판 수용적 태도를 보여야 할 것이다.

구본권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 starry9@hani.co.kr

각주[편집]

  1.  Harry Hobbs (2011년 10월 29일). “Trial of the Khmer Rogue”.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student paper》. 2012년 4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7월 17일에 확인함While the violent anti-intellectualism of the Khmer Rouge certainly forced their hand initially
  2.  Massimo Pigliucci (2005년 1월 12일). “Science and fundamentalism”. 《EMBO reports》. doi:10.1038/sj.embor.7400589. 2018년 7월 23일에 확인함as I have tried to argue above, both anti‐intellectualism and anti‐science fundamentalism are rooted in issues of ethics and religion
  3.  정한철 (2014년 7월 25일). '질문 말고 일단 믿어 봐' 기독교 반지성주의”. 《뉴스앤조이》. 2018년 7월 23일에 확인함.
  4.  권대원 (2014년 7월 25일). “반지성주의는 어떻게 기독교를 욕망의 종교로 변질시켰나?”. 《ㅍㅍㅅㅅ》. 2018년 7월 23일에 확인함.
  5.  로널드 L. 넘버스 (2016). 《창조론자들》. 새물결플러스. 304쪽. ISBN 9791186409558(홍수지질)학회(DGS)의 특별위원회는 너무도 놀라운 성격의 연구를 수행중이기에, "그 내용에 대한 매스컴의 보도를 일체 금지한다. 상황은 아주 미묘하고, 그 주제는 매우 중요하다"라고 발표했다. 현장에 있는 DGS 연구자들은 "비우호적인 과학자들" 출신의 스파이들을 경계했고, 지역 농부들에게 새로운 화석의 흔적을 찾으면 100달러씩 주겠다고 제의했다. 그것은 모든 증거를 "비밀에 부치기 위한" 것이었다.
  6.  “한국의 과학계가 창조설자들에게 굴복하다”.
  7.  “한국 과학계가 창조설에 승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