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February 7, 2014

서양에는 효도라는 단어가 없는가?

서양에는 효도라는 단어가 없는겄일가?
 
서구는 우리보다 앞서 19세기에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농경사회가 붕괴되어 자연히 
효도란 풍습이 사라졌던 것이다. 그래서 서양은 부모 세대 가 일찍이 노후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했고 이를 위해 자녀는 자생력을 키우도록 여러가지 방법을 강구하게 되었다.
 
미국의 경우 부유층이 아니면 자녀는 학자금대출을 받아 대학등록금을 내고 취직하면
월급으로 대출금을 갚아 나간다. 그리고 부모는 연금으로 노후를 보낸다. 10여년 전만 해도 연금으로 노후생활을 만끽할 수 있었는데 요즘은 물가가 많이 올라 돈의 값어치가 옛날만 못하여 연금생활자도 허리를 졸라 메야한다고 한다.

영어에도 효도(孝道)라는 단어(filial duty)가 있으며 패륜아(悖倫兒)란 단어 (an immoral person)가 있다.

 

\
1.
filial duty - duty of a child to its parents
duty, obligation, responsibility - the social force that binds you to the courses of action demanded by that force; "we must instill a sense of duty in our children"; "every right implies a responsibility; every opportunity, an obligation; every possession, a duty"- John D.Rockefeller Jr
obedience, respect - behavior intended to please your parents; "their children were never very strong on obedience"; "he went to law school out of respect for his father's wishes

Filial piet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search

This article is about the tradition in East Asia. For a general overview, see Parental respect and Ancestor worship

"Hyo" redirects here. For other uses, see Hyo (disambiguation).

Filial piety

Scene from the Song Dynasty Illustrations of the Classic of Filial Piety (detail), depicting a son kneeling before his parents.[1]
Chinese name
Korean name
,hyo
Japanese name
ko
こう

In Confucian philosophy, filial piety (Chinese: , xiào, ) is a virtue of respect for one's parents and ancestors. The Confucian classic Xiao Jing or Classic of Xiào, thought to be written around the Qin-Han period, has historically been the authoritative source on the Confucian tenet of xiào / "filial piety". The book, a conversation between Confucius and his student Zeng Shen (曾參, also known as Zengzi 曾子), is about how to set up a good society using the principle of xiào (filial piety). The term can also be applied to general obedience, and is used in religious titles in Christian Churches, like "filial priest" or "filial vicar" for a cleric whose church is subordinate to a larger parish. Filial piety is central to Confucian role ethics.[2]

In more general terms, filial piety means to be good to one's parents; to take care of one's parents; to engage in good conduct not just towards parents but also outside the home so as to bring a good name to one's parents and ancestors; to perform the duties of one's job well so as to obtain the material means to support parents as well as carry out sacrifices to the ancestors; not be rebellious; show love, respect and support; display courtesy; ensure male heirs, uphold fraternity among brothers; wisely advise one's parents, including dissuading them from moral unrighteousness; display sorrow for their sickness and death; and carry out sacrifices after their death.

Filial piety is considered a key virtue in Chinese culture, and it is the main concern of a large number of stories. One of the most famous collections of such stories is The Twenty-four Filial Exemplars (Ershi-si xiao 二十四孝). These stories depict how children exercised their filial piety in the past. While China has always had a diversity of religious beliefs, filial piety has been common to almost all of them; historian Hugh D.R. Baker calls respect for the family the only element common to almost all Chinese believers.[3]

Etymology[edit]


Filial piety is illustrated by the Chinese character xiao , which also has the same meaning in Korean and Japanese.[4] The character is a combination of the character lao (old) above the character zi (son), that is, an elder being carried by a son.[4] In Korean Confucianism, the character is pronounced hyo ().

Cultural significance[edit]

   Confucianism[edit]

Illustrations of the Ladies' Classic of Filial Piety (detail), Song Dynasty, depicting the section "Serving One's Parents-in-Law".[5]

According to the Classic of Filial Piety, Confucius once said: "In serving his parents, a filial son reveres them in daily life; he makes them happy while he nourishes them; he takes anxious care of them in sickness; he shows great sorrow over their death; and he sacrifices to them with solemnity."[4] For Confucius, filial piety was not merely blind loyalty to one's parents. More important than the norms of xiào were the norms of rén ,(Chinese ()) (benevolence) and , , () (righteousness). For Confucius and Mencius, xiào was a display of rén which was ideally applied in one's dealings with all elders, thus making it a general norm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 However in practice, xiào was usually reserved for one's own parents and grandparents, and from time to time, was elevated above the notions of rén and .

Filial piety was emphasized in Confucianism because devotion to one's parents was often associated with one's devotion to the state.[6]

Buddhism[edit]


Early Buddhism did not have a strong tradition of filial piety. Buddhism in India involved many men leaving or abandoning their families, parents, wives, and children to become monks (Buddha himself was said to have done so). The true Buddhist had to reject all family ties, just as they had to reject social and class ties if they were to pursue Nirvana. Family was viewed as just another encumbrance of mortal life that had to be dealt with. Sorrow and grief were said to be "born of those who are dear."[7] Buddhist monks were obligated to sever all ties with their family and to forget their ancestors. Theravada Buddhism stressed individual salvation, and had little room for the interdependent society that Confucianism had created in China, which stressed the good of the community more than the good of the individual. In India, Buddhism also advocated celibacy among its monks which was unacceptable in the Confucian world view, given that it was viewed as the child's duty to continue the parental line.[8]

 


Introduction of Buddhism in China[edit]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it was redefined to support filial piety. The Mouzi Lihuolun (牟子理惑論), a work defending Buddhism to the Chinese, presented arguments for Buddhist monks' seemingly poor treatment of their parents, by closely reading the works of Confucius himself.

The Mouzi Lihuolun[edit]

The Mouzi Lihuolun compares the Buddhist monk to a filial son who saves his father from drowning.

A long time ago, the Ch'i people crossed a large river in a boat and it happened that their father fell into the water. His sons rolled up their sleeves, seized his head, and turned him upside down, forcing the water out of his mouth, thus bringing their father back to life. Now, to seize one's father's head and turn him upside down is certainly not very filial. Yet they could have done nothing better to save their father's life. If they had folded their hands and practiced the norm of filial sons, their father's life would have been lost in the waters.[9]

The behavior of a Buddhist monk is similar. While on the surface the Buddhist seems to reject and abandon his parents, the pious Buddhist is actually aiding his parents as well as himself on their path towards salvation. The Mouzi Lihuolun also attempted to counter charges that not having children was a violation of good ethics. It was pointed out that Confucius himself had praised a number of ascetic sages who had not had children or family, but because of their wisdom and sacrifice were still perceived as ethical by Confucius. The argument that Buddhist filial piety concerns itself with the parent’s soul is the most important one. The same essential argument was made later by Sun Chuo, who argued that Buddhists monks (far from working solely for their own benefit) were working to ensure the salvation of all people and aiding their family by doing so.[10] Huiyuan continued in this reasoning, arguing that if one member leaves the household to be a monk, then all other members of the family would benefit from good fortune and lead superior lives.

Adapting their efforts[edit]

These philosophical arguments were not entirely successful in convincing the filial Chinese that the behavior advocated by Buddhism was correct, and so less subtle methods were employed. To more directly give Buddhism filial nature, passages and parables that were of minor importance in Indian and Central Asian Buddhism became very prominent in Chinese Buddhism. The story of Shanzi 睒子 (Syama in Sanskrit), is an example of this.

 

 

Story of Shanzi[edit]

Shanzi () spent his entire life aiding his blind parents, until he was accidentally killed. But, because of his life of filial devotion, he was miraculously revived. This story was often mentioned in the Chinese canon of Buddhist writings, included in a number of different anthologies (such as the Liudu Jijing 六度集) and referred to by other Chinese Buddhist writers.[11] While it is clearly of Indian origin, this tale was virtually indistinguishable from similar Chinese tales. While the tale was transmitted along with Buddhist writings, philosophically it had very little to do with traditional Buddhism.

The story of Moggallana[edit]

Another story advocating filial piety is that of Moggallana, a Buddhist monk who goes to great lengths to rescue his mother from condemnation for her unjust life. This story appeared in the Ullambana Sutra and it is far more relevant to Buddhism than the tale of Shan-tzǔ, though it was still not a particularly important tale in Indian Buddhism. In China, however, these stories became not just elements of Buddhist scripture, but also popular tales which were even told amongst non-Buddhists. While these tales were a part of the Buddhist tradition, Chinese Buddhism raised them from a peripheral role to a central one.

Other texts[edit]

·        Another tale that achieved great renown in China was that of the Buddha rising to heaven for three months after his Enlightenment to preach and teach his mother his new philosophy. This tale was used to indicate that the Buddha did indeed show proper concern and respect for his parents, in that he cared for their immortal souls.

·        A number of apocryphal texts were also written that spoke of the Buddha's respect for his parents,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most important of these, the Sutra on the Weighty Grace of Parents, was written early in the Tang dynasty. This Sutra has the Buddha making the very Confucian argument that parents made great sacrifices, and put great efforts into ensuring the well-being of their child. In return each child must repay this kindness with loyalty and respect. Despite being a forgery the sutra was accepted as accurate by generations of scholars and commoners, and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 fully Chinese variation of Buddhism. Other documents discussing the Buddha’s views on the parent child-relationship were also probably forgeries. The Sutra on a Filial Son, for instance, also sounds far more Chinese than Indian, and shows Confucianist influence.

Ryūkyūan cultures[edit]


Filial piety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cultures of the Ryukyu Islands. It is the topic of half of the verses of the most popular Okinawan folksong, Tinsagu nu Hana.

Criticism[edit]


Lu Xun in his collection "Dawn Blossoms Plucked at Dusk" (朝花夕拾) criticized the stories "He Buried His Son for His Mother" and "Wang Xiang: He Lay on Ice in Search of Carp".

References[edit]


1.     Jump up ^ "Paintings with political agendas". Retrieved 12 January 2012. 

2.     Jump up ^ Wonsuk Chang; Leah Kalmanson (8 November 2010). Confucianism in Context: Classic Philosophy and Contemporary Issues, East Asia and Beyond. SUNY Press. p. 68. ISBN 978-1-4384-3191-8. 

3.     Jump up ^ Baker, Hugh D. R. Chinese Family and Kinship.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9. pg. 98

4.     ^ Jump up to: a b c Ikels, Charlotte (2004). Filial piety: Practice and discourse in contemporary East Asia.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pp. 2–3. ISBN 978-0-8047-4791-2. 

5.     Jump up ^ Mann, Susan; Cheng, Yu-Yin, ed. (2001). Under Confucian eyes: Writings on gender in Chinese history. Berkeley: Univ. of California Press. p. 46. ISBN 978-0-520-22276-2. 

6.     Jump up ^ See Analects 1:2, Xiao Jing chap.1

7.     Jump up ^ Piyajatika Sutta, or Sutta 87 of the Majjhima Nikaya, translated by Thanissaro Bhikkhu http://www.accesstoinsight.org/tipitaka/mn/mn.087.than.html

8.     Jump up ^ Traylor, Kenneth L. Chinese Filial Piety. Bloomington: Eastern Press, 1988. pg. 110

9.     Jump up ^ Keenan, John P. (1994). How master Mou removes our doubts: a reader-response study and translation of the Mou-tzu Li-huo lun, SUNY Press, p. 83.

10. Jump up ^ Zurcher, E. The Buddhist Conquest of China. Leiden: E. J. Brill., 1959a, pg. 134

11. Jump up ^ Ch'en, Kenneth. The Chinese Transformation of Buddh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3. pg. 23

External links[edit]


·        The Filial Piety Sutra The Deep Kindness of Parents & Difficulty in Repaying It


 

Thursday, October 3, 2013

전주 이씨의 유래


전주 이씨의 유래.


옛지명에 전주가 완산이었고 완산이씨가 전주이씨로 바뀌었다는 글을 보았습니다..전주의 지명유래는 마한의 원산성에서 유래합니다.
, () ''의 차음(借音)이어서 백제 때에는 완산(完山)이라 불렸으며,
통일신라시대인 756(경덕왕 15) '()'을 의역하여서
전주(全州)라고 고처지게 됩니다.

이씨 족보관련 글들을 읽다가 우연히 알게된 사실인데 전주이씨의
유래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고 합니다..이것을 밝히는 것도 역사의 한 과제라고 생각합니다..아래의 글은 전주이씨에 관련해서 어느분이 올려놓은 글을 퍼온겁니다..

읽어 보시고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全州 李씨의 유래

우리 나라의 이씨는 한국 자생(自生)의 이씨와 외국에서 귀화한 외래(外來)의 이씨로 나눌 수 있다.

우리 나라는 처음에 성이 없다가 통치자, 곧 귀족부터 성이 있게 되었는데, 문자가 없었으므로 자연 중국 한자(漢字)로 표기하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의 이씨는 본관이 237본이나 된다. 이 중에서 역사가 제일 오랜 성은 경주이씨이고, 중국에서 귀화한 대표적인 이씨는 연안이씨(延安李氏) 이며, 월남에서 귀화한 화산이씨(花山李氏)도 있다.

그러면 현재 240만명 정도로 추정되는 우리 全州李씨는 어디에서 나왔는가?
여기에는 현재까지 두 가지 설이 전해지고 있으나 이 두 가지 설 모두 그 근거가 모호하여 우리 全州李씨의 정확한 생성유래로서 여러 종현 종친들의 단언적인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중국(中國)에서의 귀화설(歸化說)

작자 연대 미상의 <완산실록(完山實錄)>에는 우리 시조에 대하여 이렇게 씌어 있다.

「야사(野史) 실록(實錄)을 참고해 보면 우리 시조 사공 공의 휘는 한()이요, 자는 견성(甄城)이시다. 공은 본디 중원(中原 : 中國)에 살았는데, 태어나실 때부터 거룩하여, 총명이 과인하시고 재질이 특이하여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아시었다. 공의 나이 15세에 한림원에 입학하시고, 계모 주씨(朱氏)가 매우 사납고 악했으나 지극한 효성으로 모시었다. 그래서 그 때 동요에 "오얏나무 밑에서 반드시 왕기가 나타나리라." 하더니, 마침 배가(裵哥)에게 모함을 받아 공이 바다를 건너 우리 나라로 오니, 그 때 나이 18세였다. 나이 약관도 되지 않아 문장이 비범하고 도덕이 탁월하여 인자한 기풍을 크게 떨쳤다. 불과 수년에 사람들의 칭송하는 소리가 조정까지 들려 신라의 문성왕(文聖王)이 불러 사공 벼슬에 임명하였고, 1년 남짓 다스리매 국정이 공평하여 모든 관원들이 교화되고 만백성들이 즐겼다. 그래서 태종(太宗) 10세손 김은의(金殷義)가 사위를 삼았다」
곧 사공 공은 본디 중국인으로 배씨의 모함을 받아 신라로 와 사공 벼슬에 올라 김씨를 아내로 맞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출처 미상의 <이씨 득성의 유래(李氏得姓之由來)>란 글에서는 중국 이씨의 역사를 약술하고서 끝 부분에 「우리 全州李씨가 본래 중국 당()나라 황실의 후예라 하나, 그 파계와 원류를 밝힐 분명한 근거가 없고, 우리 시조 휘 한()으로부터 대대로 완산인이 되었다」라고 하였다.

경주이씨(慶州李氏)로부터의 분적설(分籍說)

경주이씨는 신라 육성(六姓 : · · · · · )의 하나로 우리 나라 이씨 중에서는 가장 역사가 오래된 씨족이다.

<
경주이씨대동보> 총론편을 보면 경주이씨의 유래가 나온다. 자못 전설적이지만 신라 六성의 시조 6명은 모두 하늘로부터 내려온다. 곧 육인천강설(六人天降說)이다. 경주이씨의 시조 알평(謁平)은 처음에 하늘로부터 박바위[瓢岩]로 내려왔다는 것이다. 이곳은 육촌(六村)중 알천 양산촌(閼川 楊山村)인데 나중에 급량부(及梁部)로 행정구역 명칭이 바뀌었다. 서기 기원전 69(前漢 宣帝 地節 元) 3월 초하루에, 6촌장이 알천(閼川)의 바위 위에 모여 양산(陽山) 아래를 바라보니, 이상한 기운이 번개 빛 같고 흰 말이 무릎을 꿇고 절하는 모양이 보여, 찾아가 보니 검붉은 알이 있는데, 말은 사람을 보고 슬피 울며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그래서 6촌장이 그 알을 깨 보니 한 사내아이가 나타났다. 모두들 이상히 여겨 그 아이 이름을 혁거세(赫居世)라 불렀다. 이 혁거세가 13세가 되자 기원전 57(前漢 宣帝 五鳳 元)에 이를 왕으로 삼고 나라 이름을 신라라 하였다는 것이다. 이렇게 신라를 건국한 공로로 알평은 아찬(阿餐)의 벼슬에 오르고 기원전 32(新羅 儒理王 8)에 이씨(李氏)를 사성(賜姓) 받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이알평(李謁平)이 경주이씨의 시조가 되는데, 과거의 <경주이씨족보>에는 이알평의 먼 후손 이거명(李居明 : 蘇判公)을 중시조 1()로 삼아 계대수(系代數)를 따져 왔다. 그래서 이알평부터 이거명까지는 몇 대가 흘러갔는지도 몰랐다. 그러다가 근 2백년 전 조선 말기 무렵에 경주이씨에서 갈라져 나간 합천이씨(陜川李氏) 족보에서 이알평부터 이거명까지의 대수(代數)와 이름이 나타나 36대의 명단을 찾아냈다고 한다.

(1
)알평(謁平)- (2) - (3) - (4)중가 - (5) - (6)문상- (7) - (8)수장 - (9) - (10)기정 - (11)미선 - (12)성립 -(13) - (14)계환 - (15) - (16)선장 - (17)기담 - (18)인흥 - (19) - (20)선정 - (21) - (22)태휘 - (23)우영 - (24) - (25) - (26)경지 - (27) - (28)원장 - (29)한로 - (30)계탕 -(31) - (32)사언
- (33)
→ (34)희두 - (35) - (36)거명
↘ (34)
진두 - (35)백전 →(36)
↘(36
) ()

위에서 보면 시조 이알평부터 36세손 이거명까지의 계통이 분명하다. 과거에는 이거명을 중시조 1()로 따져온 것이다.

여기서 우리 全州李씨와의 문제는 바로 34세 희두(禧斗)의 동생 진두(辰斗)와 그의 둘째 손자인 한()이 관계되는 것이다. 여기서 34세 진두씨의 약력에 나와있는 기록을 보면
"
공도 문장가로서 경문왕 때 임오년에 형 시중공과 같이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이 시랑평 장사내사상병부령에까지 이르렀다. <세장보(世藏譜)>를 참고 하건대 이분의 손자 한()이 完山 李씨의 시조가 되었다더라." 이 기록에 의하여 이진두의 둘째 손자 한이 바로 우리 全州李씨의 시조 사공공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경주이씨에서 갈라져 나간 합천이씨(陜川李氏) <상서공파세보(尙書公派世譜)>에는
(34
)진두(辰斗)-(35)백전(白全)-(36) ()-(37) ()으로 세계(世系)를 꾸며 놓고 이한(李翰)의 약력에 "대사공 은상서 어사중승 상상주국으로서 자금어대를 하사받았다. 배위는 군윤 김은의의 딸이다. 全州李씨의 시조다" 라고 적어 놓았다. 여기서도 한()이 全州李씨의 시조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으나, 경주이씨 족보와 다른 점은 공()과 한()을 형제가 아닌 부자 사이로 바꾸어 놓은 것이 이상한 점이다.

경주이씨에서 갈라져 나간 성으로 경주이씨 족보에 분명히 남아 있는 것은 원주이씨(原州李氏) · 재령이씨(載寧李氏) · 아산이씨(牙山李氏) · 우계이씨(羽溪李氏) 등이 있다. 이 성들은 분적(分籍)된 기록이 분명하다. 그러나 우리 全州李씨가 경주이씨에게서 갈라져 나갔다는 기록은 위에서와 같이 매우 애매하고, 또 그 기록이 한()씨의 약력에 기록되어 있지 않고 그 조부의 약력에 기재되어 있는 점이 더욱 이상하다.

이상으로 볼 때, 우리 全州李씨가 중국에서 왔다, 또는 경주이씨에서 갈라져 나왔다 하지만 모든 기록이 애매 모호하다. 중국에서 왔다는 기록은 아마도 옛날 사대사상(事大思想)에서 연유한 야사적(野史的) 기록이라 세직(世稷 : 世直)의 세()자가 당나라 태종 리세민(李世民)과 같은 항렬자로 본 것이다. 또 경주이씨에게서 왔다는 기록은 경주이씨의 역사가 가장 오래니까 혹시 갈라져 온 것으로 볼 수도 있기 때문일 것이다.

다만 경주이씨는 현재 이알평 시조로부터 오늘날 75() ()자 항렬까지 2천여년의 역사를 가졌고, 경주이씨의 중시조 이거명(李居明)과 전주이씨의 이한(李翰)은 동항렬(同行列)이므로 이분이 우리의 시조라면 연대는 비슷하리라 본다. 그러나 기록이 분명치 않으니 우리의 시조 신라 사공(司空) () 할아버님의 조상이 어디에서 왔느냐 하는 문제는 현재로서는 단언할 근거가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규명될 수 있는 후일을 기약해 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우리 전주리씨에서 갈라져 나간 대흥이씨(大興李氏) 영해이씨(寧海李氏) 등도 있음을 첨언한다.

全州 본관의 유래
현재의 전라북도 도청 소재지인 전주는 본래 백제의 완산(完山 : 比斯我·比自火)으로 서기 554(백제 위덕왕 1) 완산州라 하였다가 565년에 州를 폐하였다.

백제가 신라에 망한 뒤 685(신라 신문왕 5)에 州를 다시 두어 완산주라 하였다가 757(경덕왕 16)에 지금의 全州로 개칭하였다. 그 후 효공왕때 견훤(甄萱)이 이곳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 이름을 후백제라 하였다.
936
(고려 태조 19)에 후백제의 신검(神劍, 견훤의 아들)을 쳐서 평정한 후에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라 일컬었다가 940(태조 23)에는 다시 全州로 환원하였다. 993(고려 성종 12)에는 그 고을을 맡은 벼슬 이름을 승화절도안무사(承化節度安撫使)라 일컫고, 995(성종 14) 12절도사를 둘 때 순의군(順義軍)이라 칭하고 강남도(江南道)에 예속하였다.

1018
(고려 현종9)에 이르러 안남대도호부(安南大都護府)라는 이름으로 고을의 지위를 올렸다가 그후에 또 전주목(全州牧)으로 개칭하였다. 1355(공민왕 4)에는 원나라의 사신 야사불화(야思不花)를 거두었던 곳이라 하여 그 지위를 낮추어 부곡(部谷)이 되었다가 1년뒤인 1356(공민왕 5)에 다시 완산부(完山府)로 복구되었다.

우리 태조 고황제 원년(1392)에 임금님 조상이 나신 고장이라 하여 완산유수부(完山留守府)로 격을 올렸고 1403(태종 3)에 전주로 다시 고쳐 부윤(府尹)을 두었고 세조 때에는 진()을 두기도 하였다. 그 뒤 줄곧 전라도의 감영이 이곳에 소재하였으며, 1895(고종 32) 郡이 되고 전국을 13도로 개편할 때 전라북도의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 그 뒤 1935년 府로 승격되었다가 1949년 市로 개칭되어 오늘날 인구 50만의 도시가 되었다.

完山은 원래 전주부의 남쪽 3리쯤에 있는 작은 산 이름으로 고덕산(高德山)으로부터 갈라진 산이었는데 전주의 안산(案山)으로 남복산(南福山)이라고도 하였다. 또 북쪽 10리쯤에 있으면서 마이산(馬耳山)으로부터 갈라져 내려온 전주의 진산(鎭山)인 건지산(乾止山)과 마주 바라보던 산이었다.

따라서 우리 전주이씨는 완산이씨(完山李氏)라고도 불렀으며, 현재도 기호에 따라 간혹 "완산"을 본관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체로 全州를 본관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조선왕조 시대의 옛 문헌들에서도 일관되게 "전주"를 본관으로 사용하여 왔던 사실로 보아 조선 건국과 함께 "전주"본관 사용이 정착된 것으로 보여진다.

아무튼 全州는 조선왕조의 시조가 탄생한 곳이며 시조 사공 공(휘 翰)의 묘역인 "조경단(肇慶壇)이 위치(전주시 덕진동 건지산)하고 있는 곳으로 우리 전주이씨와 절대적인 관계에 있다.

시조이래 대대로 전주를 세거지로 살아왔던 우리 선조들께서는 태조 고황제의 고조부인 목조(휘 안사"安社")부터 관향인 전주를 떠나 강원도 삼척(활기동) → 함경도 덕원원나라 와똥(斡東) → 적도(두만강 유역) → 함경도 경원 등으로 이거하였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으며, 이 지역을 토대로 고려말 명장으로 성장한 태조 고황제(휘 성계"成桂")께서 유명한 '위화도 회군'을 통하여 국운이 쇠한 고려를 멸하고 새로운 "조선"을 건국하게 되는 것이다

http://www.coo2.net/bbs/skin/nzeo_ver3/t.gif

Monday, April 15, 2013

피보다 진한 돈, 종중 땅 잔혹사


중앙일보 2013년3월30일자 인터넷판에 실린겄을 율산부로그에 옮겨서  우리 소희재 자손들은 이런일들이 없도록 경각심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여기에 옮긴다.
---------------------------------------------------------------------------------------------------------
종중=공동 선조의 분묘를 보존하고 제사를 지내며 후손 간 친목을 다지기 위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가족단체다. 성과 본이 같은 하나의 종족 전체를 총괄하는 대(大)종중 안에 크고 작은 분파로 나누어진 종중이 있는데, 이 같은 지류(支流) 종중을 문중이라고 한다. 종중이 규약이나 관습에 따라 대표자를 선출하는 등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면 비법인 사단으로서의 단체성이 인정된다. 이에 따라 민사소송의 당사자로 인정되고 종중 명의로 부동산 등기도 할 수 있다.
---------------------------------------------------------------------------------------------------------

보상금 횡령" 피보다 진한 돈,종중 땅 잔혹사[중앙일보] 입력 2013.03.30 00:44 / 수정 2013.03.30 06:27

피보다 진한 돈, 종중 땅 잔혹사



“돈이면 다 되는 세상이라지만 조상이 물려준 땅을 후손이 말아먹는다는 게 말이 됩니까. 남보다 더 먼 원수가 됐죠.”

 종친들과 법정 다툼을 벌이고 있는 연안 이씨 연성군파 종중회장 이창영(66)씨는 한숨을 내쉬었다. 사건은 8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 종중회장 A(78)씨 등 3명은 2005년 경기도 용인의 임야 23만1400㎡(약 7만 평)를 종중회 공금 45억원에 사들인 뒤 종중회에는 67억원에 샀다고 보고해 차액 22억원을 빼돌렸다. 이 사건으로 A씨 등은 지난해 7월 검찰에 구속돼 재판을 받고 있다. A씨 등이 쓴 공금은 2004년 판교신도시 개발로 종중 땅 4만 평이 한국주택토지공사와 성남시에 수용되면서 받은 120억원 중 일부였다.

사라진 70억원의 행방

이 땅은 1506년(중종 1년) 중시조인 연성군 이곤이 임금으로부터 하사받은 땅이었다. 연산군을 폐위하고 중종을 왕으로 세운 반정의 공신으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500년 넘게 내려오던 땅은 향토 유적으로 지정된 일부 묘역을 빼곤 모두 고층 아파트촌으로 바뀌었다. 100억원이 넘는 토지 보상금이 나왔지만 현재 종중에 남은 돈은 한푼도 없다. 용인 임야를 사고 남은 70여억원의 행방도 묘연하다. 종중회 측은 A씨 등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해 30억원을 돌려받을 수 있는 판결을 얻어냈지만 실제로 회수한 돈은 없었다. A씨 등이 이미 재산을 다른 곳으로 빼돌려 놓았기 때문이다. 민사소송을 수년 동안 이어가는 것도 쉽지 않았다. 이 회장은 “종중 재산을 어렵게 찾는다 한들 내 개인 몫으로 돌아오는 게 아니기 때문에 다른 종친들이 잘 나서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처럼 종중 땅이 각종 개발사업에 따라 많은 보상금을 받을 수 있는 금싸라기 땅이 되면서 후손들 간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지난 5년(2008~2012년)간 종중 땅과 관련해 보상을 한 건수는 958건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385건으로 40% 이상을 차지했고 전북(82건)-충북(73건)-충남(72건) 순으로 많았다. 건당 평균 보상액은 9억3000만원이었는데, 인천(21억500만원)과 경기도(15억6300만원) 등 수도권 지역의 보상액이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이러다 보니 땅을 둘러싼 소송이 끊이지 않는다. 종중 사건을 전문적으로 맡아온 이재진 변호사는 “우리 사무실만 해도 한 해 서너 종중에서 10여 건의 사건을 의뢰한다”며 “수원·화성·용인 등 개발 호재를 탔던 경기 남부권 땅이 많다”고 말했다.

명의신탁이 화근

 종중 땅을 놓고 분쟁이 생기는 것은 대부분 종중 명의로 등기를 하지 않고 개인 이름으로 등기하는 ‘명의신탁’ 때문이다.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재산세를 걷기 위해 개인 명의로 등기를 하도록 강요한 데서 비롯됐다. 명의자인 종중원이 사망했을 때 새로운 명의자를 찾아야 하는데 이때 정확한 근거 자료를 남기지 않고 서로 믿고 하자는 식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았다. 훗날 명의자가 마음을 바꿔 본인 땅이라고 주장하면서 땅을 팔아버리기도 했다. 이를 다른 종중원이 알게 되고 종중 땅이라는 증빙자료가 있더라도 원 상태로 회복하기엔 시간이 너무 지난 뒤다.

 탐진 최씨 천곡파 종중에서 벌어진 사건이 좋은 예다. 이 종중은 광주광역시 도천동의 땅 3만9700㎡(1만2000여 평)를 종중원 7명 명의로 신탁관리해 왔다. 2002년 일부 종중원이 수천만원을 챙겨주겠다며 다른 명의자들을 매수해 명의를 넘겨받은 뒤 이 땅을 팔아버렸다. 종중회 측은 땅을 매각한 이들을 상대로 소송을 냈지만 법원은 “소송을 제기한 회장이 절차에 맞게 선출되지 않아 대표권이 없다”는 상대 측 주장을 받아들여 소를 각하했다. 4년여간 소송을 이끌어온 회장이 사망하면서 땅을 되찾으려는 움직임은 흐지부지됐다. 전 종중회 임원 B씨는 “이 동네 사람들은 우리 종중 땅이라는 것을 다 안다”며 “이미 이리저리 쪼개져 팔린 땅을 찾을 길이 없다”고 한탄했다.

골프장 개발로 조상묘도 훼손

땅 처분을 결정하는 총회 개최나 종중회장 선출 과정에서 종중 정관에 명시된 규정을 제대로 지켰는지를 놓고 다툼이 벌어지기도 했다. 골프장 개발업체 S사는 2009년 강원도 홍천의 모 종중 소유 땅 18만1800㎡(약 5만5000평)를 매입했다. 그런데 공사가 한창이던 2011년 종중원 93명은 “소수 종친의 토지 매각은 무효”라며 소송을 냈다. 땅을 팔 당시 종중회가 전체 종중원 130여 명 중 41명의 동의만 얻어 땅을 팔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종중회 임원은 “당시엔 종중회가 활성화되지 않아 연락할 수 있는 종중원에게 모두 연락했지만 50여 명만 모였다”며 “소송을 제기한 사람들 중엔 당시 동의했던 종중원들도 포함돼 있다”고 반박했다. 묘지 이장 문제는 갈등을 더 키웠다. 봉분만 남겨두고 산을 깎는 공사가 진행되면서 흙 기둥처럼 솟아 있던 묘지 15기가 사라지거나 훼손된 것이다. 업체 측은 “종중 대표들로부터 적법하게 토지를 매입했다”며 “묘지 연고자들에게 여러 차례 이장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더는 공사를 지체할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또 총회를 열 때 여성을 빼고 남성 종중원에게만 알렸다가 문제가 되기도 했다. 법원은 이미 2005년 여성을 종중원으로 인정한 바 있다. 용인 이씨 사맹공파 종중은 임야를 350억원에 팔아 성년 남자에게는 1억5000만원씩 지급하면서 미성년자와 출가한 여성 등에게는 각각 1650만~5500만원을 지급했다. 이에 출가한 여성 5명이 종중회를 상대로 종중회원 확인 청구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종중원 자격을 성인 남자로 제한한 것은 개인 존엄과 양성 평등의 법질서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성과 본이 같으면 성별과 무관하게 종중원이 돼야 한다”고 판시했다. 이재진 변호사는 “원래 종중은 조상의 제사를 모시기 위해 존재했지만 출가한 여성을 종중원으로 인정한 것은 종중이 상속을 위한 개념으로 변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종중 분쟁을 줄이려면 총회 등 절차에 대한 정확한 법률 조언을 받으라고 권한다. 법무법인이 총회 소집을 대신 통지해 주는 서비스도 등장했다. 또 절차대로 종중 재산을 처분한 뒤 공동 관리하는 것보다는 최소한의 분묘나 납골당만 남기고 나눠 갖는 것이 갈등의 소지를 없앤다는 일부의 의견도 있다.

“우리 대에서 나눠 먹으면 안돼”

모든 종중이 공동 재산을 놓고 갈등하는 것은 아니다. 거액의 보상금으로 장학재단 등 사회적 사업을 하는 종중도 있다. 경기도 용인에서 350여 년간 종중 전통을 이어온 경주김씨 참관공파 하갈종중은 2000년대 초 종중 땅 16만5300(5만여 평)에 대한 보상금 60여억원을 받았다. 종중은 이 돈으로 기금을 조성하고 후손들에게 물려줄 임야 23만1400㎡(약 7만 평)와 600여 기 규모의 납골묘를 마련했다. 기금 일부는 종중원들의 복지를 위해 썼다. 종중의 65세 이상 노인들에게는 월 20만원의 생활보조비를 지급하고, 아이를 낳은 종중원에게는 출산장려금 150만원을 준다.

종중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겐 매년 60만~150만원의 학비도 지원한다. 종중원뿐 아니라 지역의 어려운 고등학생 15명에게 한 해 60만원의 장학금도 주고 있다. 또 종중회관으로 산 5층짜리 건물에서 임대수익도 얻어 종중 운영을 하고 있다.

 많은 종중원을 설득해 보상금을 투명하게 운용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당시 종중회장이던 김학민(63)씨는 "많은 오해를 받으면서도 400여 명의 종중원을 일일이 찾아다녔다”고 말했다. 수천만원씩 돈을 나눠 갖는 데 관심이 많았지만 김씨는 “지금 나눠 가지면 종중은 해체되고 말 것”이라고 설득했다. 수백 년 전 조상이 내려준 땅을 후손들에게 물려줘야지 우리 대에서 나눠 먹는 것은 옳지 않다고 김씨는 믿고 있다.

김소현 기자


Wednesday, March 6, 2013

"전주이씨 전저족보 홈페이지" 와 "뿌리"


"전주이씨 전자족보 와 : The book Roots of Alex Haley

전주이씨 전자족보 홈페이지 편찬위원회에서는 지난 3년간의 오랜 시간동안 모든 전주이씨의 역사적 씨족자료를 검토하고 영어로 번역 하였음은 물론 많은 경비를 들여 우리들의 숙원사업 이었던 전주이씨 영문 전자족보 홈페이지와 웹사이트가 드디어 편찬되었습니다.

이제 우리 이민 1세들과 한문과 한글을 잘 모르는 우리들의 후손들은
영어로 나의 뿌리와 핏줄을 확인하여 전주이씨 및 조선왕조에 관한 기록과 내가 어느 종파 몇 대손인지를 홈페이지를 통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영문 홈페이지를 보시고 소견을 보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이 성 재 (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미 북가주 분원장)
상기 web 주소를 click 하세요.
-------------------------------------------------------------

1976~7 년도에 "Roots" by Alex Halely TV 연속극으로 방영 되여 전 미국을 흥분의 도가니로 몰고 간적이 있었다. 자기조상 "쿤타 킨테" 가 노예로 잡혀와서 모진 고난을 겪었고 그 후예들도 똑같은 고난을 겪고 있는 것을 묘사해서 너무나 처참하게 당하는 것을 보았을 때 TV을 보다가 꺼버리고 끝까지 보지 못 하고 만 기억이 난다.

나이가 들수록 자기 조상에 대하여서 알고자 하는겄은 누구나 당연 지사가 아닌가. 우리 전주이씨 족보는 가장 훌융하게 기록보존 되였으나 아무리 훌륭하게 기록 되여 있어도 외국에서 출생하고 교육받은 후세들은 읽기 곤란 하여서 미 북가주 분 원장 이성재 박사께서 심혈을 기울려 서 영문족보를 만든 것을 감사드리고 뿌리를 찾는데 도움이 되였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여기에 영문 족보 ( http://kms246.bizwon.co.kr/bin/minihome/index.html?seq=7254 ) 가 나왔으니  click 하여 열어 볼수 있음.

뿌리(Roots)는 미국의 흑인작가인 알렉스 헤일리(Alex Haley)가 저술한 소설로서, 그의 조상 쿤타 킨테 에서부터 헤일리 자신에 이르기까지 7세대에 걸친 흑인 노예 가족사를 사회고발적인 시각에서 세심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한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 가족의 일대기를 담은 이 소설은 세계 곳곳에서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베스트 셀러에 올랐고, 헤일리는 이 작품으로 '노예제도의 기록에 있어 중대한 기여를 했다' 는 점에서 퓰리쳐 특별상을 수상했다. 또한 후에 원작을 바탕으로 미국에서 TV 시리즈로도 제작되어 에미상 5개 부문 수상, 골든 글러브 최우수 TV 영화상 수상 등의 결실을 거두며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또한 당시만 해도 다인종 사회라 가계(家系)에 관심이 없었던 사람들로 하여금 뿌리 찾기 운동을 고무시켰다고 한다.

사회복지적인 관점에서 이 책을 재조명하고자 했으며, 책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들을 통해 사회복지가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와 이념에 대해 되새겨 볼 수 있었다. 이에 책의 줄거리를 소개하면서, 그로부터 생각해낼 수 있는 사회복지의 가치, 이념 등을 덧붙여 설명해나가겠다

.2. 줄거리서부 아프리카 감비아의 쥬플레라는 마을, 그 곳에서 헤일리의 선조인 쿤타 킨테는 어느 날 나무를 베러 갔다가, 노예상인인 백인들에게 붙잡혀 노예로 팔려가게 된다. 킨테는 수없이 탈출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결국 노예 감독자에게 발각되어 발이 잘리는 가혹한 엄벌을 받게 된다. 그 후 한 백인에게 팔려가 불구의 몸으로 밭일을 하며, 주인의 마차꾼으로 일하다, 벨이라는 노예와 결혼한다. 둘은 딸 키지를 낳고, 키지도 16살 때 노예로 팔려가 농
장 주인에게 겁탈 당해 아들 조지를 낳게되며, 이후로도 그 후손들의 이야기가 계속된다.


[도서] 쉽게찾는우리별자리 (이태형, 현암사, 1993.10.01)

참고자료( 파일내에기재된참고자료목록입니다. )

1. 알렉스 P. 헤일리 저, [뿌리], 안정효 역, 문학사상사, 19962. 박석돈 저, 「사회복지」제135,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73. 장인협 외 저, 사회복지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Roots



Roots: The Saga of an American Family,

In 1976, Haley published Roots: The Saga of an American Family, a novel based on his family's history, starting with the story of Kunta Kinte, who was kidnapped in the Gambia in 1767 and transported to the Province of Maryland to be sold as a slave. Haley claimed to be a seventh-generation descendant of Kunta Kinte, and Haley's work on the novel involved ten years of research, intercontinental travel and writing. He went to the village of Juffure, where Kunta Kinte grew up and which is still in existence, and listened to a tribal historian tell the story of Kinte's capture.[1] Haley also traced the records of the ship, The Lord Ligonier, which he said carried his ancestor to America.

Haley has stated that the most emotional moment of his life occurred on September 29, 1967, when he stood at the site in AnnapolisMaryland where his ancestor had arrived from Africa in chains exactly 200 years before. A memorial depicting Haley reading a story to young children gathered at his feet has since been erected in the center of Annapolis.

Roots was eventually published in 37 languages, and Haley won a Special Award for the work in 1977 from the Pulitzer Board. The same year, Roots was adapted into a popular television miniseries by ABC. The serial reached a record-breaking 130 million viewers. Roots emphasized that African Americans have a long history and that not all of that history is necessarily lost, as many believed. Its popularity also sparked an increased public interest in genealogy. In 1979, ABC aired the sequel miniseries Roots: The Next Generations, which continued the story of Kunta Kinte's descendants, concluding with Haley's arrival in Juffure. Haley was portrayed (at various ages) by future soap opera actor Kristoff St. JohnThe Jeffersons actor Damon Evans, and Tony Award winner James Earl Jones.

Haley was briefly a "writer in residence" at Hamilton College in ClintonNew York, where he began work on Roots. He enjoyed spending time at a local bistro called "The Savoy" in Rome, New York, where he would sometimes pass the time listening to the piano player. Today, there is a special table in honor of Haley with a painting of Haley writing "Roots" on a yellow legal tablet.



I

Tuesday, March 5, 2013

전주이씨 전자족보 와 뿌리(The book Roots of Alex Haley)





"전주이씨 전자족보 와 The book Roots of Alex Haley



전주이씨 전자족보 홈페이지 편찬위원회에서는 지난 3년간의 오랜 시간동안 모든 전주이씨의 역사적 씨족자료를 검토하고 영어로 번역 하였음은 물론 많은 경비를 들여 우리들의 숙원사업 이었던 전주이씨 영문 전자족보 홈페이지와 웹사이트가 드디어 편찬되었습니다.

이제 우리 이민 1세들과 한문과 한글을 잘 모르는 우리들의 후손들은
영어로 나의 뿌리와 핏줄을 확인하여 전주이씨 및 조선왕조에 관한 기록과 내가 어느 종파 몇 대손인지를 홈페이지를 통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영문 홈페이지를 보시고 소견을 보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이 성 재 (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미 북가주 분원장)






상기 web 주소를 click 하세요.



----------------------------------------------------------------------

1976~7 년도에 "Roots" by Alex Halely TV 연속극으로 방영 되여 전 미국을 흥분의 도가니로 몰고 간적이 있었다. 자기조상 "킨타 쿤테" 가 노예로 잡혀와서 모진 고난을 겪었고 그 후예들도 똑같은 고난을 겪고 있는 것을 묘사해서 너무나 처참하게 당하는 것을 보았을 때 TV을 보다가 꺼버리고 끝까지 보지 못 하고 만 기억이 난다.


나이가 들수록 자기 조상에 대하여서 알고자 하는겄은 누구나 당연 지사가 아닌가. 우리 전주이씨 족보는 한자로 기록보존 되어서 아무리 훌륭하게 기록 되여 있어도 외국에서 출생하고 교육받은 후세들은 읽기 곤란 하여서 미 북가주 분 원장 이성재 박사께서 심혈을 기울려 서 영문족보를 만든 것을 감사드리고 뿌리를 찾는데 도움이 되였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여기에 영문 족보 홈페이지 ( http://kms246.bizwon.co.kr/bin/minihome/index.html?seq=7254 ) 가 나왔으니 click 하여 열어 보세요






 



 
목차


1. 들어가며..
2.
줄거리
3.
자유에의 갈망
4.
자유, 그 이면에는..
5.
생존권의 문제
6.
끝맺으며..




본문내용


뿌리(Roots)는 미국의 흑인작가인 알렉스 헤일리(Alex Haley)가 저술한 소설로서, 그의 조상 쿤타 킨테에서부터 헤일리 자신에 이르기까지 7세대에 걸친 흑인 노예 가족사를 사회고발적인 시각에서 세심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한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 가족의 일대기를 담은 이 소설은 세계 곳곳에서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베스트 셀러에 올랐고, 헤일리는 이 작품으로 '노예제도의 기록에 있어 중대한 기여를 했다' 는 점에서 퓰리쳐 특별상을 수상했다. 또한 후에 원작을 바탕으로 미국에서 TV 시리즈로도 제작되어 에미상 5개 부문 수상, 골든 글러브 최우수 TV 영화상 수상 등의 결실을 거두며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또한 당시만 해도 다인종 사회라 가계(家系)에 관심이 없었던 사람들로 하여금 뿌리 찾기 운동을 고무시켰다고 한다. 나는 교수님께서 말씀하셨듯이 사회복지적인 관점에서 이 책을 재조명하고자 했으며, 책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들을 통해 사회복지가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와 이념에 대해 되새겨 볼 수 있었다. 이에 책의 줄거리를 소개하면서, 그로부터 생각해낼 수 있는 사회복지의 가치,이념 등을 덧붙여 설명해나가겠다.

2.
줄거리
서부 아프리카 감비아의 쥬플레라는 마을, 그 곳에서 헤일리의 선조인 쿤타 킨테는 어느 날 나무를 베러 갔다가, 노예상인인 백인들에게 붙잡혀 노예로 팔려가게 된다. 킨테는 수없이 탈출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결국 노예 감독자에게 발각되어 발이 잘리는 가혹한 엄벌을 받게 된다. 그 후 한 백인에게 팔려가 불구의 몸으로 밭일을 하며, 주인의 마차꾼으로 일하다, 벨이라는 노예와 결혼한다. 둘은 딸 키지를 낳고, 키지도 16살 때 노예로 팔려가 농장 주인에게 겁탈 당해 아들 조지를 낳게되며, 이후로도 그 후손들의 이야기가 계속된다.




참고자료 검색


[도서] 쉽게 찾는 우리 별자리 (이태형, 현암사,1993.10.01)





참고 자료 ( 파일내에 기재된 참고자료 목록입니다. )


1. 알렉스 P. 헤일리 저, [뿌리], 안정효 역, 문학사상사, 1996
2.
박석돈 저, 「사회복지」제135,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7
3.
장인협 외 저, 사회복지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Roots

In 1976, Haley published Roots: The Saga of an American Family, a novel based on his family's history, starting with the story of Kunta Kinte, who was kidnapped in the Gambia in 1767 and transported to the Province of Maryland to be sold as a slave. Haley claimed to be a seventh-generation descendant of Kunta Kinte, and Haley's work on the novel involved ten years of research, intercontinental travel and writing. He went to the village of Juffure, where Kunta Kinte grew up and which is still in existence, and listened to a tribal historian tell the story of Kinte's capture.[1] Haley also traced the records of the ship, The Lord Ligonier, which he said carried his ancestor to America.

Haley has stated that the most emotional moment of his life occurred on September 29, 1967, when he stood at the site in Annapolis, Maryland where his ancestor had arrived from Africa in chains exactly 200 years before. A memorial depicting Haley reading a story to young children gathered at his feet has since been erected in the center of Annapolis.

Roots was eventually published in 37 languages, and Haley won a Special Award for the work in 1977 from the Pulitzer Board. The same year, Roots was adapted into a popular television miniseries by ABC. The serial reached a record-breaking 130 million viewers. Roots emphasized that African Americans have a long history and that not all of that history is necessarily lost, as many believed. Its popularity also sparked an increased public interest in genealogy. In 1979, ABC aired the sequel miniseries Roots: The Next Generations, which continued the story of Kunta Kinte's descendants, concluding with Haley's arrival in Juffure. Haley was portrayed (at various ages) by future soap opera actor Kristoff St. John, The Jeffersons actor Damon Evans, and Tony Award winner James Earl Jones.

Haley was briefly a "writer in residence" at Hamilton College in Clinton, New York, where he began work on Roots. He enjoyed spending time at a local bistro called "The Savoy" in Rome, New York, where he would sometimes pass the time listening to the piano player. Today, there is a special table in honor of Haley with a painting of Haley writing "Roots" on a yellow legal tab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