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September 15, 2018

내가 하고 싶지 않은 일을 남에게 하지 마라 己所不慾勿施於人(기소불욕물시어인)

종교가 없어도 善한 삶 살 수 있다 세계적으로 無종교자 비율 증가, 가난•불안한 나라가 종교인 많고 풍요롭고 안정될수록 무종교적… "종교 없으면 타락한다"는 건 편견 종교 없는 삶 

필 주커먼 지음|박윤정 옮김|판미동 종교를 비난하는 책은 아니다. 

다만 종교 없이도 건강한 삶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저자는 '종교 없음' 현상을 연구하는 미국의 사회학자다. 이 책에 앞서 '신 없는 사회 (Society Without God)' '더 이상 신앙은 필요 없다(Faith No More)'를 썼다.

 미국은 대통령 당선자가 성경에 손을 얹고 취임 선서를 하는 '신의 나라'이지만 최근 '종교 없음'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종교적 태도가 되고 있다. 1950년대 미국인 중 종교 없는 사람은 5%에 불과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8%에 머물렀다. 무종교 비율은 2000년 이후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01년 14%, 2013년 19%, 최근 조사에서는 30%로 치솟았다. '종교 없음' 현상은 세계적 추세다. 캐나다 30%, 프랑스 33%, 네덜란드 40%, 노르웨이 45%, 체코는 61%가 신을 믿지 않는다. 

한국에서 종교 없는 사람은 56.1%(2005년 통계)로 종교 있는 사람보다 많다. 걱정할 일은 아니다. 무종교인이 많은 사회가 오히려 더 건강하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자메이카와 덴마크가 극명한 사례다. 개신교와 가톨릭 신자가 대부분인 자메이카 국민은 정기적으로 교회에 가고, 기도를 자주 하며, 천국과 지옥의 존재를 믿는 사람이 많다. 반면 덴마크는 기독교 문화를 갖고 있지만 무종교 쪽으로 기울어 있다. 국민들은 교회에 잘 나가지 않고, 기도도 거의 하지 않고, 천국과 지옥을 믿지 않는 사람이 더 많다. 

종교성 측면에서 볼 때 자메이카는 종교적인 나라이고 덴마크는 무종교적인 나라다. 그런데 자메이카는 세계에서 가장 폭력적인 사회인 반면 덴마크는 폭력이 가장 적다. 자메이카의 살인율은 10만명당 52명, 덴마크는 10만명당 1명도 되지 않는다. 무종교는 최근 가장 급성장하는 종교적 태도이다. 

종교 없이도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미국 사회학자인 저자는 말한다. 단지 하나의 사례가 아니다. 가난하고 혼란스러운 나라일수록 종교성이 강하고, 부유하고 안정적인 나라일수록 무종교적인 경향이 있다고 저자는 진단한다. 가난하고 정정(政情)이 불안한 아이티, 엘살바도르, 콜롬비아, 라이베리아, 짐바브웨 등은 종교성이 강한 나라다. 반면 높은 수준의 풍요와 평화를 누리는 노르웨이, 뉴질랜드, 호주, 일본 등은 무종교성이 더 강하다. 

개인도 비슷한 경향이 있다. 종교적 성향이 강하면 대체로 편견도 강하다. 종교적으로 강경한 사람일수록 인종차별 성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9•11 테러 직후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테러 행위 혐의가 있는 죄수의 고문을 허용했다. 2009년 조사에 따르면 종교성이 강한 미국인일수록 고문에 찬성하는 비율이 높았고, 무종교성이 강한 미국인은 정부의 고문 허용 정책을 대체로 반대했다. 

종교 없는 사람은 도덕적이지 않을 것이란 명제는 편견에 불과하다. 도덕적 준거를 굳이 외부(신)에서 찾을 필요는 없다. 인간은 타인에게 진심으로 관심을 기울일 때 더 좋은 결과가 있다는 사실을 경험으로 안다. 내면의 성찰을 통해 관용과 배려의 정신을 배운다. 

기원전 600년쯤 작성된 고대 이집트 파피루스에는 '다른 사람에게 당하고 싶지 않은 일을 다른 사람에게 하지 말라'고 적혀 있다. 비슷한 시기 공자(기원전 551~479)는 "내가 하고 싶지 않은 일을 남에게 하지 마라[기소불욕물시어인•己所不欲勿施於人]"고 했다. 저자는 이런 '황금률'이 무종교인의 도덕적 준거이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신이 아니라 인간의 기본적인 공감 능력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저자는 무종교 개인과 사회의 건강성을 입증하기 위해 여러 사람을 인터뷰했다. 이를 통해 종교가 없는 개인과 사회라고 해서 타락으로 떨어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그 반대가 사실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진정한' 종교인에 대해선 높이 평가한다. 사고로 여덟 살 아이를 잃은 무종교인 엄마가 말했다. "알지도 못하는 이웃이 기독교인이라면서 찾아와 아들을 잃은 저를 위해 기도하고 있다고 했어요. 그들은 마음이 따뜻하고 공감을 잘해줬어요. 종교 없는 사람들 사이에선 그런 게 전혀 없었습니다." 원제: 


'Living the Secular

己所不慾勿施於人 (기소불욕물시어인)






己 자기 기 l 所 바 소 l 不 아니 불 l 欲 욕심 욕, 하고자 할 욕 l 勿 말 물 l 施 베풀 시 l 於 어조사 어 l 人 사람 인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도 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내가 하고자 하지 않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 말라'라는 뜻으로, 자기 스스로 하고 싶지 않은 일을 다른 사람에게도 시키지 말라는 것이다. 공자(孔子:BC 552∼BC 479)의 가르침을 전하는 《논어(論語)》'위령공편(衛靈公篇)'에 나오는 다음 구절에서 유래하였다.

중국 춘추시대 위(衛)나라의 유학자 자공(子貢:BC 520?∼BC 456?)이 공자에게 "제가 평생 동안 실천할 수 있는 한 마디의 말이 있습니까[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 하고 묻자,

공자는 "그것은 바로 용서의 '서(恕)'이다[其恕乎]. 자신이 원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에게도 하지 말아야 한다[己所不欲勿施於人]"라고 말하였다.

자신이 하기 싫은 일은 다른 사람도 마땅히 하기 싫어할 것이기 때문에 내가 원하지 않는 일을 남에게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내가 상대편에게 굽실거리고 싶지 않으면 상대편도 나에게 굽실거리는 것을 바라지 말아야 하듯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며 용서하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인격을 존중해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관련 명언

동의어·유의어

¶ 己所不欲,勿施於人。 (論語 衛靈公)
What you do not want done to yourself, do not do to others. (Wei Ling Gong, The Analects)
자신이 원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에게도 하지 말아야 한다. (논어 위령공편)

¶ Do to others whatever you would have them do to you. (MATTHEW 7:12)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 (마태오 복음서 7:12)

¶ 自利利他,如鳥兩翼。 (華嚴經普賢行願品)
나도 이롭고 남도 이로우면 새의 양쪽 날개와 같다. (화엄경 보현행원품

 Life'. 조선일보 2018.09.15. 관련기사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091401032639173002

Sunday, April 15, 2018

남아입지출향관

男兒立志出鄕關 若學不成死還來

내가 60 중반에 미국 유학길에 오를 참으로 어려운 시기였다. 다행이 당시 한미재단에서 유학생을 위하여 육군 수송선을 알선 해주어서 인천에서 출발 하여 미국 상항 옆에 오크 랜드 해군기지 25 거처서 오게 되었는데 수송선이 2 정도 되니까 인천부두에 접안이 안되니 유학생 다섯 명이 보트를 타고수송선 까지약 한시간을 간겄으로 기억 난다.

보트를 타고 가면서 머러저가는 고국산천 바라보면서 우리가 다시 고국 강산을 밟을 것인가 男兒立志出鄕關 若學不成死還來 하였으니 눈물을 글성 거리면서 상념에 잠겼든 생각이든. 그래도 병고 와 공부에 시달리면서 살아서 고향에 도라왔으니 나는 조상이 나의 건강을 지켜주어서 특히 할머니께서 제 건강을 생전에도 그러 하시였고 저승에서도 건강을 지켜주시어 학업을 마치고
오늘이 있게 해주신 조상님들에 감사드립니다.

男兒立志出鄕關, 남아로 태어나 뜻을 세우고 고향을 떠났으니
學若不成死不還, 만약 배움에 성공하지 못하면 죽어도 돌아오지 않으리라
埋骨豈期先墓地, 어찌 나의 뼈를 선영에 묻을 것을 기약하리오
人間到處有靑山, 인간이란 가는 곳마다에 청산이 있는데

시에서 청산은 원래 묘지의 뜻인데, 요즘에는 일본에서도 '푸른 나무가 무성한 것처럼 활약을 마음껏 있는 장소' 같은 뜻으로 많이 해석을 합니다. 번째 구의 不復還은 死不還이라고도 지었다고 하고, 번째 구의 何期는 豈期와 豈惟, 그리고 豈唯로도 지었다고 합니다. 뭐라고 해도 같은 뜻입니다.

시의 작자는 " 月性"이라는 사람입니다. 일본 막부시대 말에 살았던, 진종(眞宗) 스님인데, 1817년에 야마구치(山口)현에서 태어나서 1856년에 죽었다고 합니다.


죽어서 선산에 묻히기를 소원 해서 내호를 栗山 (현 선산이 옛 밤나무산이었음) 으로 하고 율산 브로그도 만들고 했는데 지금 생각 하니 부질없는 욕망이오 도처에 청산인데 굳이 그럴 필요가 있나 하는 생각이 든다.

선산에 무치고저 하는 이유는  자자손손 종손이 종중자산 관리, 제사 등 책임하에 유지 하고왔는데 어떻데 된건지 종손이란녀석이 결혼도 못하고 후사가 없고 할아버지로 받은 유산상속 재산을 동생들에 나누어 주면 종손의 의무를 이행할 후손은 없으니 한심하기 짝이 없으니말이다. 

그래서 내호를 "栗山" 에서 靑山으로 바꾸고저 한다




Tuesday, October 17, 2017

진정한 자식교육은


진정한 자식교육은

  《단점을 감싸주고 잘못을 덮어주기만 하면서 아이가 자라면 스스로 알게 거라고 말하는구나.

  務護其短 務掩其過 而以爲渠長則當自知之

 (무호기단 무엄기과 이이위거장즉당자지지)

이원배의 구암집(龜巖集)    

세상에 자식 기르는 것보다 힘들고 어려운 일이 있을까. 많은 학자들이 자식 교육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아무리 책을 보아도 자식에게 맞는 육아법은 없는 같다.

그리고 이성적으로는 충분히 공감하지만 실제 부모의 입장에서는 도저히 적용할 없는 것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론들이다. 자식을 기르는 부부 사이에서의 갈등 많은 부분도 자식을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가의 차이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지금의 이른바 기성세대는 어렸을 사소한 잘못에도 부모님으로부터 많은 꾸지람을 받고 자랐다.  돌이켜 생각해봐도 그렇게 혼날 일이 아니었는데, 그리 심하게 나무랐는지 지금도 이해되지  않기도 한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어린아이들의 기를 죽이면 된다는 분위기가 확산되더니,

급기야 잘못된 행동에도 너무 너그럽기만 교육 방식을 택하는 부모가 늘어난 듯하다.  조선 후기의 학자 이원배는 자식을 기르는 것에 대한 논설(養子說)이라는 글에서,

엄하게 꾸짖지 않고 지나친 사랑으로 자식의 잘못마저 감싸는 풍조를 지적하고 있다.   먹일 줄만 알고 노력하게 줄을 모른다거나 사랑할 줄만 알고 제대로 가르칠 줄을 몰라서,  나중에 자라면 알아서 잘하게 것이라고 말하며 잘못을 비호한다면,  이러한 행동은 결과적으로 자식을 사랑하는 행동이 되지 못한다고 하였다.

생각할 있을 정도의 어렸을 때부터 잘못된 행동을 하면 엄하게 꾸짖어야 경계하는 마음이 생겨  감히 함부로 행동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리고 옛말을 인용하며 사람의 악행은 처음에 그치게 하면  쉽지만 무성해진 뒤에 하게 하면 완강히 거부하여 승복시키기가 어렵다라고 하였다.

 자식을 끔찍이 사랑한다는 딸바보, 아들바보라는 신조어도 생겼다. 그러나 사랑만이 지나쳐  우리의 자식들을 무엇이 잘못인지도 모르는 바보딸 바보아들 만들어서는 것이다.

 이원배(李元培·17451802) 본관은 공주(公州), 호는 구암(龜巖)이다. 함경도 경성(鏡城) 출신으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학문에 종사하며 지역의 선비들을 교육하였다.

 

이정원 한국고전번역원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