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January 24, 2011

친족 촌수 한자로 호칭 하기

정이 넘치는 바른사회 만들기 jeongsg21.egloos.com Egloos | Log-i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09년 01월 24일 친족 촌수 한자(漢字)로 호칭 하기 ▣ 

촌수(寸數)란 무었인가 ? 촌수(寸數)란, 친족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체계이다. 우선 부부관계는 촌수가 없으며, 부자관계는 1촌, 형제관계는 2촌이 된다. 3, 4촌의 경우는 친족 호칭을 대신하기도 한다. 4촌은 [從/종], 6촌은 [재종], 8촌은 [삼종]간이다. 따라서 큰아버지의 자녀는 내게 종형제나 종자매가 되고 당숙의 자녀는 재종형재 자매가 된다. 이와 달리 고모의 자녀는 내종형제, 내종질 등 호칭 앞에 [內]자가 붙는다. 고종4촌은 내종숙, 그 자녀는 내종형제가 된다. 堂(당)은 오촌숙질 관계를 가리키는 말로 종형제의 자녀를 당질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종자매의 자녀는 從甥姪(종생질)이다. 각 명칭에서 '叔(숙)'은 아저씨, 姪(질)은 조카, '嫂(수)'는 형제의 아내를 뜻한다. 

 민법상 친족은 8촌 이내의 혈족과 4촌 이내의 姻戚(인척), 배우자를 통틀어 말한다. 血族(혈족)에는 자기의 直系(직계) 尊卑屬(존비속) 즉 직계혈족과 형제,자매 및 그 형제 자매의 직계 비속인 傍系血族(방계혈족)이 있다. 인척에는 혈족의 배우자와 배우자의 혈족이 포함된다. 친족이란, 촌수가 가까운 사람들을 말한다. 법률상 배우자, 혈족, 인척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배우자와 8촌 이내의 부계 혈족, 4촌 이내의 모계 혈족, 남편의 8촌 이내의 부계 혈족, 남편의 4촌 이내의 모계 혈족, 처의 부모 등을 이른다. 8촌의 기준은 고조까지 '4대 봉사'라 하여 제사를 모심으로써 서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관계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 

 외족이란, 어머니의 친정 일가로써 외조부.모, 외숙부.모, 이모.부, 외종사촌과 이종사촌을 포함한다.외숙부모와 이모의 자녀는 4촌간으로 외종형제 자매, 이종형제 자매가 된다. 10년 이상 연상인 조카에게는 '조카님', '일가어른', '일가양반' 또는 별호(別號) 등을 부른다. 사회적 지위를 부르기도 한다.같은 세대에서의 호칭이 가장 부담스럽지 않다. 속담에 "배안의 할아버지는 있어도 나이가 적은 형(兄)은 없다"고 한 것이 이것이다. 같은 세대에서는 나이가 위이면 '형님'이고 나이가 적으면 '이름'을 부르고'아우님', '여보게', '자네' 등으로 부르면 된다. 비록 나이가 아래라 하더라도'아우님'이나 사회적 호칭으로 불러서 대접하는 경우도 있다. 

◑연고항비(年高行卑)의 경우 상대가 나이는 나보다 위이지만 세대는 아래인 경우를 연고항비라고 한다.세대도 위이거나 같거나 하고 나이도 위이면 편하게 부르고 대접하겠지만 연고항비의 경우는 까다롭다. 이런 때는 아랫세대의 사람은 웃세대의 사람을 나이에 관계없이 웃세대로 대접해 '아저씨', '대부'라 부르며 높임말을 쓰고, 나이가 적은 사람은 나이가 많은 사람을 세대에 관계없이 '하세요'의 높임 말씨를 대접하면 된다. 나이가 많은 조카와 나이가 적은 아저씨의 올바른 대화는 이렇다. "아저씨, 언제 오셨어요?" "조카님 뵈올려고 오래 전에 왔습니다." 

◑일가간의 호칭, 지칭어 면족지친의 일가의 할아버지 세대에게는 '대부(大夫)', '족조(族祖)'라고 부르고 자기를 가리킬 때는 족손(族孫)이라고 말하고 대상자를 남에게 지칭할때는 비족대부(鄙族大父)라 하며 남이 나에게 족조를 말할 때는 귀족대부(貴族大父)라고 한다. 여기서 비(鄙)는 자기를 낮추는 말이고 귀(貴)는 남을 높여서 하는 말이다. 일가간으로서 족숙(族叔)항렬은 '아저씨,족숙주(族叔主)'라 부르고 자기를 일컬을 때는 족질이라 한다. 족형(族兄)은 형제 항렬로서 '형님', '족형'하고 부르면 되고 자기를 지칭할 때는 족제(族弟)라 하며 족제를 부를 때는 '동생', '아우'하고 말하고 자기 자신을 일컬을 때는 '족형'하고 대상자를 타인에게 이야기할 때는 '비족제'라고 하면 된다. 

▣ 촌수 계산하는 방법 ◑ 형제간의 촌수 계산법 형제라 하면 같은 항렬(行列)을 총칭하는 말로서 형제는 2촌, 4촌, 6촌, 8촌, 20촌 등 다양하다.형제간에는 다음 요령으로 그 촌수를 계산하면 된다. 예를 들어 증조부(曾祖父)에서 계열(系列)을 달리하는 형제중 촌수가 가장 먼 형제가 6촌인데 이 육촌 됨을 계산하는 방법은 형제의 기본 촌수가 2촌이며 증조부의 나의 삼대조(三代祖)이니 3촌의 3대조의 대수 삼을 곱하면 6촌이 된다. 할아버지는 같고 아버지가 다른 형제는 사촌간이 된다. 

◑윗대 촌수 계산법 아버지의 사촌 형제가 나와는 몇 촌인가는 아버지의 사촌에다가 아버지와 나는 1대이니 1을 더하면 촌수가 5촌이 된다. 고조부의 6촌 형제는 고조부의 6촌의 6에 고조부와 나와는 대로 4이니 4를 더하면 10촌이 된다. 같은 할아버지 자손이 만났을 때 그 할아버지가 나에게는 13대조이고 다른 한 사람은 그 할아버지에게는 16대조가 된다면 그 사람은 나의 증손 항렬에 되는 데 나와는 촌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가 있다. 2촌 * 13대조 = 26촌 ... 26촌 + 3 = 29촌 2촌 * 16대조 = 32촌 ... 32촌 - 3 = 29촌 즉 형제의 기본 촌수 2와 자기와의 대수를 곱하면 자기 항렬 촌수이다. 이 두 사람의 대수의 차이가 3대이니 계산 방법에 따라 3을 빼는 경우도 있다. 

▣ 호칭(呼稱) 시조(始祖)를 1世로 해서 자기까지 내려온 世數(세수)를 行列(항렬)이라 한다. 항렬이 같은 사람끼리는 동항(同行)이라고 하여 형제뻘이 되고, 일세(一世) 위는 숙항(叔行), 이세(二世)위는 조항(祖行) 할아버지뻘이 된다. 밑으로 일세(一世) 아래가 질항(姪行; 조카뻘), 이세(二世) 아래는 손항(孫行)이다. 친인척을 통틀어 같은 항렬간에는 서로 [형님][아우님], 숙항과 질항간에는 [작은아버지][큰아버지][아저씨][조카][질녀]로 부르지만 10년이상 연상인 조카는 [조카님] 또는 사회적 직위를 부른다. 조항과 손항간은 [할아버지][손자]로 부르지만 팔촌이 넘는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대부]나 [대모]라고 부른다. 시댁에서 첫 명절을 맞는 새댁일 경우 시댁 식구를 부를 때 호칭에 특히 조심해야 한다. 시부모등 웃어른 앞에서 남편을 부를 때 출산전에는 [그이]가 무난하고 아이가 있을 때는 [아무개 아비]로 부르면 된다. 남편형제에게 남편을 말할 때는 시동생에게는 [형님] 시누이에게는 [오빠]로 부른다. 또 남편의 형은 [아주버님], 남동생은 [도련님] 또는 [서방님], 남편의 누님은 [형님], 여동생은 [작은아씨]가 알맞다. 

 남에게 말할 때는 [시아주버니] [시숙] 또는 [시동생] [시누이] 이다. 이외의 호칭은 남편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부르면 된다. ◑호칭에 사용되는 낱말 대(代):가계나 지위의 대물림 순서를 아래로부터 위로 계산해 갈 때의 단위로서, 대수를 셈하는 방법은 촌수를 셈하는 방법과 동일하여 아버지는 나의 1대 선조이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위에서 아래로 셈할 때도 사용된다 면례(緬禮): 무덤을 옮기고 다시 장사지 내는 일 밀례(사투리) 면봉(緬奉): 면례의 높임 말 (緬: 멀다, 아득하다, 다하다) 종친(宗親) : 

성과 본이 같은 일가 방계 촌수 : 혈족의 일방으로부터 공동시조에 이르는 대수와 공동시조로부터 다른 일방에 이르는 대수를 通算 (=合算)하여 계산한다. 본관 본향(本貫=貫鄕): 시조(始祖)가 태어나 삶의 본거지로 삼은 곳 .줄여서 본(本)이라고도 한다. 본적(本籍): 호적법에 따라 호적이 관리되고 있는 곳으로서 같은 호적에 올라있는 사람들의 집단을 일가(一家)라 하고, 그 구성 원을 한 가족이라고 한다. 세(世):가계나 지위의 대물림 순위를 위에서 아래로 계산해 갈 때의 단 위로서 世數를 셈하는 방법은 촌수를 셈하는 법과 다르다. 즉 대수에 1을 더한 것을 세수로 한다. 따라서 나는 아버지의 2세 손( 1대손), 할아버지의 3세손( 2대손)이 된다. 세대(世代): 선대후세(先代後世;선조는 代로 나타내고, 후손은 世 로 나타냄)를 줄인 말로서 혈통으로 보아, 한 代가 다음 代로 바뀌기까지의 활동기간을 말하며 대개 30 년으로 본다. 

 시제[時祭=시향(時享)]: 음력 2, 5, 8, 10월에 조상의 산소에 가서 드리는 제사 일가(一家) : 성과 본이 같은 겨레붙이로 촌수를 따지기 어려운 한 집안 사이를 이른다. 원적(原籍): 새로 본적을 바꿔 옮겼을 때 즉 전적(轉籍)하였을 때 옮기기 전의 옛 본적을 말한다. 종가(宗家): 맏이 파의 집안(=큰집) 종친(宗親) : 성과 본이 같은 일가(一家)를 말한다. 종친회(宗親會) : 동성동본 일가붙이의 모임으로, 종문회(宗門會) ,화수회(花樹會)라고도 한다. 직계 촌수 : 단순히 그 사이를 이어주는 親子의 代數를 계산한다. 촌(寸) : 친족관계의 긴밀도를 측정하는 척도의 단위 ,촌(寸)은 원래 손목에서 손가락 두개 너비(약 3.03㎝)쯤 떨어져 있는 맥박 뛰는 곳(=촌구맥)까지의 거리를 가리키 는 말.<1 1="" 3.03="" 30.3=""> 촌(=親等)수 : 혈족 사이를 이어주는 親子의 대수(代數)를 말한다. 
<1 1="" 3.03="" 30.3="">
<1 1="" 3.03="" 30.3="">항렬(行列): 방계혈족에 대한 대수(代數), 세수(世 數) 관계를 나타내는 말로서 항렬의 차이는 해당 직계 혈 족과의 촌수에 상응한다. 홀수차(差) 항렬 ⇒항렬의 차이가 홀수 차이가 나는 항렬으로서 존속으로는 아버지, 증조할아버지, 5 대조 할아버지 라인이고, 비속으로는 자녀, 증손자녀, 래손자녀이다. 짝수차(差) 항렬 ⇒항렬차가 짝수차가 나는 항렬으로서 존 속으로는 할아버지, 고조 할아버지라인이고 비속으로는 손자녀, 현손자녀 이다. <위 홀수차, 짝수차 항렬 라인의 개념은 친족 명칭을 보고 몇 촌 지간 인지를 알아낼 때 매우 긴요하게 쓰이는 것에 유의해야 한 다. 예컨대 종숙이라면 어근이 숙(叔), 즉 아버지 뻘로서 홀수차 항렬라인이므로 촌수칭 접두사 종이 4, 5 촌을 한꺼번에 나타내 는 접두사라고 하더라도 여기서는 5촌지간임을 알 수 있고, 반 면에 종조부는 어근이 조부, 즉 할아버지 뻘로서 짝수차 항렬라 인이므로 접두사 종이 4촌과 5촌을 모두 나타낸다 하더라도 여 기서는 4촌을 나타내는 것임을 알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
<1 1="" 3.03="" 30.3="">
<1 1="" 3.03="" 30.3=""> 항렬자(行列字): 항렬, 즉 代數대수, 世數세수상의 서열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름 속에 넣는 돌림자(오행상생의 원리에 따라 종친회에서 미리 정하여 족보에 올려놓는다. 그래서 호적상의 법률상 이름과 족보상의 사실상 이름이 다른 경우가 많다) 동항(同行): 자기와 같은 항렬, 즉 형제자매 뻘의 항렬<짝수차(직계 0촌뻘) 항렬 라인> 손항(孫行): 손자와 같은 항렬,<짝수차(직계 2촌뻘) 항렬 라인> 숙항(叔行): 아버지와 같은 항렬, <홀수차(직계 1촌뻘) 항렬 라인> 조항(祖行): 할아버지와 같은 항렬,<짝수차(직계 2촌뻘) 항렬 라인> 질항(姪行): 조카와 같은 항렬, 즉 자녀 뻘 항렬<홀수차(직계 1촌뻘) 항렬 라인> 
<1 1="" 3.03="" 30.3="">
<1 1="" 3.03="" 30.3="">◑ 친척 인척 호칭에 쓰이는 명칭 ▷유복지친(有服之親 ; 상을 당할 때 복(服)을 입는 가까운 친족) 백부(伯父)=세부(世父;집안의 대를 잇는 아버지라는 뜻으로 백부를 이름) ; 조부(祖父)의 장자로 곧.큰아버지를 이름 /백모(伯母)=세모(世母) ; 백부의 아내. / 중부(仲父) : 아버지의 중형. /중모(仲母) : 중부의 아내. / 숙부(叔父), 계부(季父). 아버지의 동생. /숙모(叔母) : 아버지 동생의 아내 고모(姑母) : 아버지의 여자 형제 / 고숙(姑叔) ; 고모부(姑母夫)를 이름 형수(兄嫂) : 형의 아내. /제수(弟嫂) : 동생의 아내 자(姉) : 누님 . 손위 누이. / 매(妹) : 여동생. 손아래 누이 자형(姉兄) ; 여형제의 배우자 질(姪),/ 생질(甥姪),/ 당질(堂姪),/ 재당질(再堂姪) ; 각각 형제, 누이, 내종형제.매, 재종형제.매의 자식 손(孫),/ 외손(外孫),/ 종손(從孫),/ 재종손(再從孫),/ 삼종손(三從孫) ; 아들, 딸, 조카, 당질, 재당질의 자식질(姪) :
<1 1="" 3.03="" 30.3="">
<1 1="" 3.03="" 30.3=""> 조카. 형제의 아들. /질부(姪婦) : 조카의 아내 내종형제(內從兄弟) ; 고모의 아들 /, 내종매(內從妹) ; 고모의 딸로 흔히 고종 사촌이라고 함. 종손(從孫) : 형제의 손자. /종손부(從孫父) : 형제의 손부 종형제(從兄弟) : 백숙부모의 아들. /종자매 (從姉妹) : 백숙부모의 딸로 나와 친사촌간임 당질(堂姪) : 종형제의 아들./ 당질부 (堂姪婦) : 당질의 아내 재종형제(再從兄弟) ; 육촌 형제, /재종매(再從妹) ; 육촌 자매 사이 재종손(再從孫) : 종형제의 손자 종조부(從祖父) : 할아버지(조부;祖父)의 형제. /종조모(從祖母) : 종조부의 아내 대고모(大姑母) ; 할아버지의 여자 형제. /대고숙(大姑叔) 대고모부(大姑母夫) ; 대고모의 남편 당숙부모(堂叔父母) ; 종조부모의 아들 부부 당숙(堂叔) : 아버지의 종형제. /당숙모(堂叔母) : 종숙모(從叔母)를 친근하게 일컫는 말.당숙의 아내 재종형제(再從兄弟) : 당숙의 아들. /재종자매(再從姉妹) :
<1 1="" 3.03="" 30.3="">
<1 1="" 3.03="" 30.3=""> 당숙의 딸 / 재당질(再堂姪) : 재종형제의 아들 재종조부모(再從祖父母) : 아버지의 당숙과 당숙모 재당숙(再堂叔) : 아버지의 재종형제 재당숙모(再堂叔母) : 재당숙의 아내 삼종형제(三從兄弟) : 팔촌 형제.아버지의 재종형제에게서 난 자녀. /삼종자매(三從姉妹) : 재당숙의 딸 종증조부(從曾祖父) : 증조의 형제 /종증조모(從曾祖母) : 종증조부의 아내 왕고모(王姑母) : 아버지의 고모 / 종고모(從姑母) : 아버지의 종자매 재종고모(再從姑母) : 아버지의 재종자매 / 종증조고모(從曾祖姑母) : 증조의 자매 현손(玄孫) : 손자의 손자. =고손(高孫)증손자의 아들. /현손부(玄孫婦) : 현손의 아내 ▷면복근친(免服近親 ; 상복을 입지 않는 종속) 삼종(三從) ; 

<1 1="" 3.03="" 30.3="">(三從兄弟; 팔촌 형제. 한 고조(高祖)의 후손.아버지의 재종형제에게서 난 자녀)의 준말 삼종조부(三從祖父) : 아버지의 재당숙 /삼종조모(三從祖母): 아버지의 재당숙모 삼종형(三從兄) ; 팔촌 형 /삼종제(三從弟) ; 팔촌 동생 /삼종매(三從妹) ; 팔촌 누이 삼종자(三從姉) ; 팔촌 누이 /삼종매부(三從妹夫) ; 팔촌 누이의 남편 삼종수(三從嫂) ; 팔촌 형제의 아내 삼종숙(三從叔) : 아버지의 팔촌(삼종)형제 구촌 아저씨 /삼종숙모(三從叔母) : 삼종숙의 아내 삼종질(三從姪) : 팔촌(삼종)형제의 아들. 구촌 조카 / 삼종손(三從孫) : 칠촌 조카의 아들. 육촌 형제의 손자. 재종형제의 손자 삼종(三從)이 넘는 일가는 촌수(寸數)가 없고, 조부(祖父)의 항렬(行列)에 해당되면 대부(大父)라 하고,아버지의 항렬은 족숙(族叔)이라 하고, 형제 항렬은 족형(族兄), 족제(族弟)라 한다. 
<1 1="" 3.03="" 30.3="">
<1 1="" 3.03="" 30.3="">항렬은 족질(族姪)이라 하고, 항렬이 분명치 않을 때는 종씨(宗氏), 존장(尊長)이라 한다 [혼인으로 인하여 생기는 관계] ◑아버지(부;父)로 인하여 맺어진 관계 고모부(姑母夫) : 고모의 남편 내종(內從) : 고모의 자녀.고종 사촌. =姑從(고종) / 내종질(內從姪) : 내종의 아들 자형(姉兄) : 누님의 남편 / 매부(妹夫) : 여동생의 남편 생질(甥姪) : 여자 형제의 아들 / 생질녀(甥姪女) : 여자 형제의 딸 ◑ 어머니(모;母)로 인하여 맺어진 관계 외조부(外祖父) : 외왕부(外王父). 어머니의 아버지 / 외조모(外祖母) : 외왕모(外王母). 어머니의 어머니 외숙(外叔) : 어머니의 오빠나 남동생 / 외숙모(外叔母) : 외숙의 아내 / 외종(外從) : 
<1 1="" 3.03="" 30.3="">
<1 1="" 3.03="" 30.3="">외숙의 아들,딸 외종숙(外從叔) : 어머니의 사촌 여자 형제 이모(姨母) : 어머니의 여자 형제 / 종이모(從姨母) : 어머니의 사촌 여자 형제 이모부(姨母夫) : 이모의 남편 / 이종(姨從) : 이모의 자녀 / 이질(姨姪) : 아내의 자매의 자녀 ◑ 남편(부;夫)으로 인하여 맺어진 관계 시부(媤父) /媤母(시모) : 남편의 아버지〔구(舅)〕와 어머니〔고(姑)〕 / 시숙(媤叔)?시매(媤妹) : 남편의 남자 형제와 여자 형제 ◑ 아내(처;妻)로 인하여 맺어진 관계 빙부(聘父) /빙모(聘母) : 아내의 아버지(장인,丈人)와 어머니(장모(丈母),악모(岳母),처모(妻母) 처백부모(妻伯父母)?처숙부모(妻叔父母) : 아내의 백부모와 숙부모 처남(妻男) : 아내의 남자 형제 / 처형(妻兄)?처제(妻弟) : 아내의 언니와 동생 / 처수(妻嫂) : 처남의 아내 / 처질 (妻姪) : 처남의 자녀 
<1 1="" 3.03="" 30.3="">
<1 1="" 3.03="" 30.3="">◑ 기타 호칭 살아 계신 자기아버지 ; 가친(家親) 엄친(嚴親 / 살아 계신 남의 아버지 ; 춘부장(椿府丈) 춘정(椿庭) 존당(尊堂) 대인(大人) 춘당(春堂.椿堂)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 ; 선친(先親) 선고(先考) 선인(先人) / 돌아가신 남의 아버지; 선대인(先大人) 선고장(先考丈) 살아 계신 자기 어머니 ; 모친(母親) 자친(慈親) 가자(家慈) / 살아 계신 남의 어머니 ; 대부인(大夫人) 자당(慈堂) 북당(北堂) 훤당(萱堂) 돌아가신 자기 어머니 ; 선자친(先慈親) 선자(先慈) 선비(先비) 전비(前비) / 돌아가신 남의 어머니 ; 선대부인(先大夫人) 선자당(先慈堂) 남의 남편 ; 부군(夫君) / 남의 아내 ; 令夫人(영부인), 令室(영실), 閤夫人(합부인) 부인(夫人) 자기의 아내 ; 
<1 1="" 3.03="" 30.3="">
<1 1="" 3.03="" 30.3="">妻(처), 內子(내자), 內堂(내당), 家人(가인) 자기의 아들 ; 家兒(가아), 家豚(가돈), 豚兒(돈아), 迷豚(미돈) / 남의 아들 ; 令郞(영랑), 令息(영식), 令胤(영윤) 자기의 딸 ; 女息(여식), 息鄙(식비) // 남의 딸 ; 令愛(영애), 令嬌(영교), 令孃(영양) 친한 벗 ; 大兄(대형), 仁兄(인형) 남의 형 ; 伯氏(백씨) / 남의 아우 ; 季氏(계씨), 弟氏(제씨) 손윗 누이의 남편 ; 姉兄(자형), 妹兄(매형), 姉夫(자부) 시아버지와 시어머니 ; 구고(舅姑) / 시어머니와 며느리 ; 고부(姑婦) / 장인과 사위 ; 옹서(翁壻) 여동생의 남편 ; 제부(弟夫),매제(妹弟) / 형의 아내 ; 형수(兄嫂) 어머니의 여동생 여동생 남편 ; 이모(姨母),이숙(姨叔) ◑삼족(三族)과 그 별칭(別稱) 族(족)--宗族(종족),外族(외족),妻族(처족) 家(가)--親家(친가),外家(외가),妻家(처가) 黨(당)--父黨(부당),母黨(모당),妻黨(처당) 親戚 --宗親(종친),外戚(외척),姻戚(인척) 갈래 --親族(친족),戚族(척족),戚族(척족)

No comments: